지난 6월쯤 국가건강검진을 진행했다. 검진결과안내를 받았더니 혈압도 높고 콜레스테롤이며 당 수치며 다 높아.. 몸이 망가지고 있다는 걸 느꼈다.
그러면 뭐 해 그때뿐.. 국가건강검진 결과 수치에 충격을 받은 것도 금세 잊고 일상생활 중에 보건소에서 연락을 받았다. 대사증후군위험 관리대상자로 보건소에서 추가 검사를 진행하는데 받으시겠냐고
일단 전화를 받을 때는 직장에 다니고 있었지만 11월 검사 진행 예정시기에는 백수가 될 예정이라 시간적 여유도 있겠다. 보건소에서 진행하는 검사를 받아보겠다고 했다.
그래놓고 생각나는 대사증후군이 뭐지?
막연하게 혈당 콜레스테롤 혈압등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것인데.. 그래서 찾아보게 된 대사증후군!
그래서 대사증후군 너 뭐니 ?
성인 30대 이상의 1/3 정도가 대사 증후군 주의군으로 판정을 받을 정도로 아주 흔한 질병이라고 한다.
대사증후군이란 복부비만, 높은 혈압, 높은 혈당, 높은 중성지방수치, 낮은 HDL 콜레스테롤 혈증의 5개의 위험요인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쉽게 말해 대사증후군을 방치하게 되면 고혈압과 고지혈증,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합병증까지 유발될 수 있다.


아주 흔하지만 치명적인 질환으로 커질 수 있는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해서 대다수의 보건소에서 관리를 하고 있는 게 아닌
가 하는 생각이 든다.
대사증후군의 원인 ?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지만 '인슐린 저항성'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 요인이 비만과 운동부족과 같은 생활 습관이다.
결국 대사증후군은 운동부족과 복부지방, 비만, 내장지방의 영향을 받는다.

대사증후군 지표 정상수치 ?
허리둘레
남자 90 cm 미만 / 여자 85 cm 미만
혈압
130/80 mmHg 미만
중성지방
150 mg/dL 미만
공복혈당
100 mg/dL 미만
고밀도 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이상 / 여자 50 mg/dL이상
대사증후군 관리방법 ?
혈압이 높다면 혈압관리를 해야 하고 공복혈당이 높다면 혈당관리를.. 한꺼번에 치료하는 방법은 없다. 각해당하는 항목별로 개별적인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대사증후군의 주요인으로 추정하는 비만과 운동부족을 잘 관리해 주어야 한다. 기복적으로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해 복부둘레를 줄이고 적정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허리둘레를 줄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혈당관리와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관리 역시 식이조절과 운동이 필수다.
숨이 찰 정도로 빠르게 걷기를 하루 40분 이상 일주일 최소 3-4회 진행해야 한다. 숨이 찰 정도로 즉 심박수가 높아진 상태를 유지해야 지방이 타기 시작한다고 한다.

결국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만이 답인 듯싶다.
'Let's be healthy_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자궁근종 이야기5_서울성모병원 수술전검사/자궁근종 수술전 검사 (0) | 2023.12.28 |
---|---|
금천구보건소/대사증후군 추가검사 하러가기! (0) | 2023.11.27 |
나의 자궁근종 이야기4 _ 서울성모병원 입원수속 미리미리 (0) | 2023.11.23 |
나의 자궁근종 이야기 3 _ 서울성모병원 자궁근종 MRI 촬영후기 (0) | 2023.11.15 |
나의 자궁근종 이야기2_서울성모병원으로 전원하자 (0) | 2023.10.23 |